분류 전체보기 (279) 썸네일형 리스트형 순진무구; 10월 16일 탄생화 이끼장미 10월 16일 탄생화 이끼장미, 꽃말은 순진무구 이끼장미는 밤과 비 오는 날에는 꽃을 모으고 있다고 한다. 맑은 날에만 꽃잎을 펼친다고 하니 마치 어린아이의 모습과 같다. 밝고 깨끗한 날 아이들의 뛰노는 모습이 그려진다. 요즘 아이들을 보면 밖에서 돌아다니는 아이들이 드물다. 운동장에서 친구들과 어울리는 모습도 찾아보기 어렵다. 학원 이곳 저곳으로 옮겨다니기에 바쁜 모습만 보인다. 학원을 하는 입장에서 이런 말을 할 때는 조금 안타깝기도 하다. 마음껏 놀면 좋을텐데.... 하고 생각을 하지만 어릴 때 배우지 않으면 기회가 줄어들기도 하고 배움을 통해 더 넓은 세계를 보는 눈도 길러지기 때문에 무엇이 옳은지 틀린지 말하기도 곤란하다. 그리고 부모의 입장에서는 어느 선택도 옳고 그르다고 판단하기도 힘들기 때.. 좋은 희망 ; 10월 15일 탄생화 스위트바즐 10월 15일 탄생화 스위트바즐, 꽃말은 좋은 희망 희망이란 어떤 일을 이루거나 하기를 바라는 것이다. 그래서 문화나 종교든 희망을 상징하는 로고를 많이 사용한다. 희망의 상징으로 대표적인 새는 흰색 비둘기다. 성경에서도 노아의 방주에서 비둘기를 내어 방주 밖이 안전한지 확인했다. 비둘기의 몸이 말랐고 올리브 가지를 물고 돌아와서 안전함을 알았다. 그래서 비둘기는 희망의 상징이다. 나비도 인내, 미래에 대한 희망을 상징한다. 나비가 되기까지 고치에서 오랜 시간을 기다리고 애벌레과정을 통해 화려하고 아름다운 날개를 가지게 된다. 또 희망의 상징으로 일출이 있다. 새로운 시작을 앞두고, 특히 한 해의 시작에 일출을 보기 위해 산이나 바다에 사람들이 몰리는 이유도 희망을 보기 위함이다. 그리고 무지개. 비가 .. 진실, 고결 ; 10월 14일 탄생화 흰색국화 10월 14일 탄생화 흰색국화, 꽃말은 고결 흰색국화는 장례식에서 주로 사용한다. 고인이 좋아하는 꽃을 헌화하는 것도 아닐 테고. 검색해 보니 장례식에 국화꽃이 사용된 것은 1876년 강화도조약 이후 서구문화가 들어오면서 흰 국화와 검은색 상복이 장례식장에도 들어왔다 한다. 흰색 상복과 삼베옷을 입는 우리나라의 장례문화와 어울리는 흰 꽃이 국화밖에 없어 사용하게 되었다 한다. 서양에서는 국화가 '고결, 엄숙'을 의미한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진실, 고결, 정조'를 뜻한다. 이 꽃말을 들으니 죽음 앞에서는 모든 것이 고결하다는 생각이 든다. 고결(固結) 함도 헛되다. 즉, 엉기어 굳어진 모든 것이 헛되다. 죽음 앞에서는 사람이든 일이든 관계든 모든 엉겨진 것들을 놓는 순간이다. 그래서 죽음 앞에서는 고.. 단정한 사랑; 10월 13일 탄생화 조팝나무 10월 13일 탄생화 조팝나무, 꽃말은 단정한 사랑 단정하다는 것은 옷차림새나 몸가짐 따위가 얌전하고 바르다는 뜻이다. 성경에서는 용모에만 국한시키는 뜻이 아니라 절제와 질서 있는 태도를 말한다. 교회 안의 집사의 직분에 대한 말씀이 있다. 이와 같이 집사들도 정중하고 일구이언을 하지 아니하고 술에 인 박히지 아니하고 더러운 이를 탐하지 아니하고 (딤전 3;8) 여자들도 이와 같이 정숙하고 모함하지 아니하며 절제하며 모든 일에 충성된 자라야 할지니라 (딤전 3:11) 일구이언은 이중적인 마음에서 나온다. 자신의 이익을 위해 이 사람 저사람에게 다른 이야기를 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 술에 인 박힌 사람은 자기의 맡은 바 일을 실행하는 데 적합하지 않고 많은 유혹을 받을 수 있다. 그래서 집사의 직분으로 단.. 반항심 ; 10월 12일 탄생화 월귤 10월 12일 탄생화 월귤, 꽃말은 반항심 비틀즈 멤버인 존 레논이 1971년에 발표한 솔로 앨범 중 'imagine'이 있다. 피아노 반주에 이은 드럼의 소리가 단순하지만 그의 음악의 깊이는 다르다. 사회를 향해 고발하고 희망을 그린다. 무겁고 깊고 뜨거움으로 다가온다. 현실은 차갑고 얕고 가볍지만 그의 노래는 이에 반항한다. '욕심도 없고, 굶주림도 없고, 형제애와 인간애가 있을 뿐~' 이런 세상, 이런 인류를 그린다. 모든 인간이 도우며 사는 세상을 그린다. 다만 상상 속의 그날이 아닌 평화로운 땅을 소망하는 그의 세계를 함께 노래해본다. 사회적인 문제와 현실 속에서 노래하는 이가 할 수 있는 최대의 움직임이다. 함께 얘기하고 함께 나누며 함께 노래함으로 세상을 이기고 현실을 타파해 갈 수 있는 것.. 사랑의 슬픔 ; 10월11일 탄생화 부처꽃 10월 11일 탄생화 부처꽃, 꽃말은 사랑의 슬픔 어제저녁 남편과 산책을 하며 가수 박창근 씨가 부른 '다시 사랑한다면'을 들었다. 넓고 빈 주차장이라 간혹 운동하는 한 두사람만 있을 뿐이어서 크게 틀어놓고 걸었다. ' 그대와 나의 사랑은 너무나 강렬하고도 애절했으며 그리고 위험했다 그것은 마치 서로에게 다가설수록 상처를 입히는 선인장과도 같은~' 으로 시작하는 나래이션과 박창근의 깔끔함과 애절함이 가슴을 무너지게 했다. 마치 나의 얘기인양 그 속에 매료되어 몇 번을 들으면서 심취했다. 너무 깊은 사랑은 외려 슬픈 마지막을 가지고 온다고 하니 허~~~~~~~~ 사랑의 슬픔이 이런 경우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너무 깊은 사랑은 이뤄져야 하는 게 맞지 않나? '하며 분위기 깨는 소리를 하며 웃으며 또 걷.. 포식; 10월 10일 탄생화 멜론 10월 10일 탄생화 멜론, 꽃말은 포식 생태계에서 포식자의 급격한 증가는 생태계의 종 다양성이 영향을 크게 미친다. 포식자의 급격한 증가로 종 간에 경쟁이 증가되고 일부 종의 다양성이 감소된다. 이러한 변화는 다른 생물에게도 영향을 미쳐서 생태계의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래서 일부 종들은 더 적응하지 못하고 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먹이 사슬의 붕괴는 기후변화에 의해서도 일어난다. 기온 상승으로 먹이사슬의 1차 생산자를 감소시킴으로써 중간소비자와 최상층의 포식자까지 에너지 흐름을 감소시킨다고 한다. 이는 먹이그물 내의 많은 해양 생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애들레이드 대학 과학자들이 수년 전에 얘기했다. 이 우려가 현실이 되어 우리는 생물 다양성 위기의 시대에 살고 있다. '침팬지 박사'.. 극찬; 10월 9일 탄생화 희향 10월 9일 탄생화 희향, 꽃말은 극찬 아시안게임 남자 축구 대표팀이 결승 일본전에서 역전승으로 금메달을 얻었다. 이영표 해설 위원은 "황선홍호가 지금까지 선제골을 먼저 실점하고 단 한 번도 이긴 적이 없다는 데이터를 갖고 있는데 차마 말을 못했다"며 "가징 결정적인 순간에 단 한 번도 하지 않았던 것을 뒤집어 냈습니다"라며 감격하며 황선홍호를 극찬하였다. 이 멘트가 감동되었다. 우리는 어떤 일을 진행하거나 시행을 하기전 그동안의 데이터를 중심으로 사람을 평가하거나 일의 진행 유무를 판단한다. 공공연히 말끝에 '지난번에도 실패했어', '이건 한 번도 성공한 적이 없던 거야', '그 사람 원래 그렇잖아.' '역시 ~~~~아니야' 이영표 위원이 황선홍호를 극찬한 데는 한 번도 하지 못했고, 사람들의 의식 속..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35 다음